0. 내가 일하는 부서는 인원이 한 30명 정도 되는 곳이다.
나이 대는 20대부터 60대 은퇴 직전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그러다보니 나처럼 한창 육아하는 직원들이 여럿 된다.
그 중 미취학 아동들을 키우고 있는 가족들을 적어보자면-
A: 아들 둘
B: 딸 둘
C: 딸 하나
D: 아들 하나
그리고 나-
여하튼 코로나 때문에 재택근무한지 벌써 10개월이 넘어가고... 열달이 넘어가서 그런가- 여기저기서 아기를 낳았다는 소식이 들려온다. 농담하는게 아니라 A,B,C,D 가족 모두 아기를 낳았다! 그래서 updated list는 다음과 같다.
A: 아들 둘 + 딸
B: 딸 둘 + 아들
C: 딸 하나 + 딸
D: 아들 하나 + 아들
다들 비슷한 시기에 출산한 것을 보니 모두 코로나 베이비들이다ㅎㅎ. 그러고보면 미국에 사는 사람들은 참으로 아기를 많이 낳는 것 같기도 하고;;
1. 한국에서는 저출산 때문에 문제다 하는데 그냥 한번 눈감고 대기업 전체를 1년 정도만 full로 재택근무시키면 어떨까하는 말도 안되는 생각을 해본다. 사장님들은 결사반대하겠지만 재택근무한다고 해서 회사가 안돌아가는 것은 아니거든-
허구언날 아침 일찍 나가서 집에 늦게 들어오는데 아이를 가질 여유가 어디 있을까- 요새 주52시간 해서 다들 집에 일찍 퇴근한다고는 하지만 그래봤자 하루 10시간 넘게 일하는 꼴이다. 아침 9시에 출근했다면 저녁 8시에나 퇴근한다는 이야기- (점심시간 1시간 제하고). 밤 9시나 되서야 집에 들어갈텐데 어떻게 아이들을 키우나요 ㅎㅎㅎㅎ
모두들 실패한 저출산 대책이라고 욕하지만 까놓고 말해서 정부 혼자서 저출산을 해결할수 있는 문제도 아니고- 그렇다고 다른 선진국처럼 주 40시간만 일합시다 하자고 하면 나라 망한다고 다들 개거품 물걸ㅎㅎ? (주 52시간만 해도 그 난리였는데)
2. 참고로 코로나 베이비를 가진 가족들은 모두 맞벌이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. 즉 육아 역시 어느정도 경제력이 뒷받침되어야한다는 이야기- 요즘 세상에 외벌이만 해서는 아이 한명 키우는게 거의 한계일듯-
덧글